반응형
서버 설정 처리
server.xml
TOMCAT/conf 에 있는 server.xml 의 connector 지정 부분(70행 쯤에 있다)에 아래와 같이 URIEncoding를 추가하여 지정해준다.

setenv.sh
TOMCAT/bin 디렉토리에 setenv.sh 라는 파일을 새로 만들어 아래 내용 추가하여 기본 파일 인코딩을 utf-8로 지정해 주고 TOMCAT 재시작
#!/bin/bash
JAVA_OPTS="$JAVA_OPTS -Dfile.encoding=\"utf-8\""
이렇게 하면 되는 이유는 TOMCAT/bin/catalina.sh 를 열어보면 알 수 있다.
약 23행 정도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.

TOMCAT 실행 관련 환경변수는 직접 catalina.sh 에 추가하지 말고, TOMCAT/bin/setenv.sh 에 작성하라고 되어 있다. 실제 스크립트에 setenv.sh를 체크하는 부분이 작성되어 있다.
출처 ::: http://hanmomhanda.blogspot.kr/2014/03/tomcat.html
반응형
'BackEnd > ::: 리 눅 스 :::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상서버사용 톰캣 서비스 등록 하고 부팅 할때 마다 시작하기 (0) | 2015.03.04 |
---|---|
centos wget jdk 설치하기 (1) | 2015.03.03 |
우분투 방화벽 제어법 ufw (0) | 2014.12.11 |
VMWARE 설치 하여 깔금하게 관리하기 (0) | 2014.11.20 |
spring 8080 포트 문제 아파치 / 톰캣 동시사용할때 (0) | 2014.03.25 |
리눅스에서 Mdir 사용하기 (0) | 2014.01.22 |
tomcat 이 자꾸 죽어서... crontab 만듬 (0) | 2014.01.21 |
리눅스 서버 UTF-8 변경하기 (0) | 2014.0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