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
스프링에서 di 주입할때 항상 좀 헷갈렸던게


bean 을만들고  set 할때  소문자는 안되는거였다..


String firstName


아래 처럼 하면 오류다  

public void setfirstName(int firstNum) {

this.firstNum = firstNum;

}


법칙이다 무조건 set소문자 이후 대문자로 시작해야 한다.

public void setFirstNum(int firstNum) {

this.firstNum = firstNum;

}


그냥 법칙인데 왜 안될까 고민했던적이 있어서... 그냥 하라는대로 하면 되는데 꼭 의문이 생긴다 ㅎㅎ


아마 필드 변수와 구분하기 쉽게 할려고 그런것 같다.


그리고 xml에서 

<bean id="myCalculator2" class="com.javalec.ex.MyCalculator">

<property name="calculator">

<ref bean="calculator"/>

</property>

<property name="firstNum" value="10" />

</bean>


<property name="firstNum" value="10" />

요것 처럼 값을 넘길려면 꼭 set 메서드가 있어야 한다 없으면 애러 ~ 


차근차근 이해하자 대충대충 되는가보다 하고 넘어가면 차후 오류가 생길때 잡기가 힘들다 ㅠㅠ





참고 강좌 ~


반응형
반응형



이클립스/Eclipse XML 및 코드 자동 정렬 하기 TIP

이클립스를 사용 할 때 XML 및 코드 정리를 할때 매 번 엔터를 치거나 일일이 정렬 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.
무척 번거롭지요 -___-

이클립스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위해 자동정렬을 지원해 주는데요.
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있겠지만,

정렬 작업시 불편함을 느끼신 분들은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.




Eclipse > Preference > XML > XML Files > Editors' 에서 'Split multiple attributes eash on a new line' 을 체크한다.


XML 파일을 열고, Ctrl + A ( 전체 선택 ), Ctrl + i ( 자동 정렬 )






출처 http://arabiannight.tistory.com/16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