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가상환경 설정  윈도우 기준

python -m venv myvenv

 

myvenv 로 공간이 하나 생성 된다.

 

해당 공간 활성화

.₩myvenv\Scripts\activate 

 

활성화 확인

pip list

 

특정 공간에 설치된 모듈 리스트를 보여준다.

 

 

각 공간에 라이브러리를 따로 설치해서 독립적으로 관리한다 라는 개념으로 이해 !!

 

 

 

참고영상

https://youtu.be/o_vKT80BBkw

 

반응형
반응형

아 로컬에서만 계속 테스트 했더니.. 삽질...

우선 파일 4개를 제일 상위에 만든다

4개 파일 만둘기

.env

VUE_APP_SERVER="base"

.env.local

VUE_APP_SERVER="local"

.env.dev

VUE_APP_SERVER="dev"

.evn.production

VUE_APP_SERVER="prod"

 

그리고 

package.json

"serve": "vue-cli-service serve",
"dev": "vue-cli-service serve --open --port 8888 --mode dev ",
"production": "vue-cli-service serve --open --port 8888 --mode prod ",

 

main.js 혹은 main.js 에서 불러오는 아무 파일에서

console.log("server--->", process.env.VUE_APP_SERVER ) 

추가

npm run serve 

로컬에서 해보면 

로그 server---> local 출력 ( base 가 나올줄 알았는데...)

로컬에서 npm run dev  하면

로그  server---> dev 출력

base는 언제 나올랑가~~ 모르겠다 암튼 분리 완성!!!!

하고 나면 쉬운데 개념 잡기 참 어렵어렵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