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cursor 에서 깃 연결 하는데 간만에 하는거라 헤맴

 

git init
git add .
git commit -m "Initial commit"
git branch -M main
git remote add origin your-github-repo-url
git push -u origin main

git remote add origin 이부분은 

연결해야할 브런치명 이랑 내가 방금 생성한 깃 url 연결하면 됨

 
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behong/250312.git

 

git push  도  같음

 

git push -u 로컬브런치명  깃허브 브런치명

git push -u  origin master

반응형
반응형

1️⃣ SEO 최적화 (검색엔진 최적화) 강화

SEO는 블로그 성공의 핵심 요소입니다. 구글,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면 자연스럽게 방문자가 늘어납니다. 2025년에는 더욱 **사용자 경험(UX)**과 검색 의도에 맞춘 콘텐츠 최적화가 중요합니다.

SEO 팁:

  • 키워드 리서치: 정확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사람들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를 파악하세요. 구글 서치 콘솔이나 네이버 검색광고에서 제공하는 키워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모바일 최적화: 구글은 모바일에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우선적으로 처리합니다. 모바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세요.
  • 콘텐츠 길이: 구글의 알고리즘은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긴 글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 하지만 지나치게 길지 않도록 주의하고, 핵심을 잘 전달해야 합니다.

2️⃣ 고품질의 콘텐츠 제작

2025년에는 고품질의 콘텐츠가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. 방문자들이 실제로 원하는 정보나 가치를 제공하는 글을 작성해야 합니다. 단순한 키워드 밀어넣기보다는 독자 중심의 콘텐츠를 작성하세요.

콘텐츠 팁:

  • 문제 해결형 콘텐츠: 독자들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는 정보나 팁을 제공하면 좋습니다. 예를 들어, "2025년 블로그 운영을 위한 5가지 팁"처럼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세요.
  • 비주얼 콘텐츠 활용: 이미지, 인포그래픽,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시켜 블로그 글의 가독성을 높이세요.
  • 업데이트 및 트렌드 반영: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콘텐츠는 지속적인 방문자를 유도합니다. 예를 들어, AI2025년의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와 같은 주제를 다룰 수 있습니다.

3️⃣ 소셜 미디어 및 커뮤니티 활용

소셜 미디어온라인 커뮤니티는 블로그의 트래픽을 끌어오는 강력한 도구입니다. 블로그에 포스팅을 올리고, 이를 SNS에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더 많은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.

소셜 미디어 팁:

  • SNS 플랫폼 선택: 각 SNS(Instagram, Facebook, Twitter 등)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하세요. 예를 들어, 인스타그램에서는 비주얼 콘텐츠, 트위터에서는 짧은 핵심 메시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해시태그 사용: 관련성 있는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글을 노출시킬 수 있습니다. 예: #블로그운영, #SEO, #2025블로그
  • 커뮤니티 참여: 블로그와 관련된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해 활동하고, 블로그 글을 소개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세요.

4️⃣ 구독자 관리 및 이메일 마케팅

블로그의 구독자를 확보하고, 이메일 마케팅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메일을 통해 블로그의 새 글이나 소식을 구독자에게 직접 알릴 수 있습니다.

구독자 팁:

  • 구독 유도: 블로그 상단에 구독 버튼을 배치하여 방문자가 쉽게 구독할 수 있게 합니다. 매력적인 인센티브(예: 무료 가이드, 특별 콘텐츠 등)를 제공해 구독을 유도하세요.
  • 정기적인 뉴스레터: 구독자에게 정기적인 이메일 뉴스레터를 보내고, 최신 글이나 블로그에 관한 특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  • 개인화된 콘텐츠 제공: 구독자에게 개인화된 콘텐츠나 혜택을 제공하여 이메일 마케팅의 효과를 극대화합니다.

5️⃣ 사용자 경험(UX) 향상

사용자가 블로그를 방문했을 때 편리하고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웹사이트의 속도, 디자인, 탐색 용이성 등은 블로그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
UX 향상 팁:

  • 빠른 로딩 속도: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리면 방문자는 쉽게 이탈합니다. 이미지 최적화캐시 사용 등을 통해 로딩 속도를 빠르게 유지하세요.
  • 모바일 친화적 디자인: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블로그를 방문하므로 모바일 반응형 디자인을 사용해야 합니다. 방문자들이 어떤 기기에서도 편리하게 블로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  • 깔끔한 레이아웃: 직관적인 메뉴읽기 쉬운 글꼴을 사용해 방문자가 쉽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디자인을 개선하세요.
반응형
반응형

도커 허브로 관리

 



기본 환경 만든 후 도커 허브에 올리기

예)  
Dockerfile
docker-compose.yml

두개 파일 생성 후

docker-compose up -d

그럼 이미지 생성 된다

도커 허브 로그인  cmd 에서..


docker login 

Docker Compose로 빌드한 이미지를 Docker Hub에 올리려면


 docker-compose build 

명령어를 실행합니다.

도커 허브에 푸시

docker push mydockerhubusername/myapp:latest

허브에 잘 올라간것 확인 할 수 있음  굿굿 ~

 


그리고 그 후 
Dockerfile
docker-compose.yml

 

변경이 발생 하면
변경된 내용을 반영하려면 새로 빌드합니다.
docker-compose build

docker push mydockerhubusername/myapp:latest

좀 헷갈리는데 몇번 해보면 감이 온다 ..

 

컨데이너면 

docker commit <container-name> <new-image-name>


여하튼 쓸데없이 로컬에 백업본 만들어두려고 했는데 이게 훨씬 편함 

반응형
반응형

도커 내부에 라이브러리 설치등으로 처음과 다르게 자꾸 변경된다

 

로컬에 백업해서 가지고 있을까 하다

 

도커 허브에 올려서 관리하려고 한다

 

굿굿 ~

 

 

변경된 내용을 Docker Hub에 올리려면 새로운 이미지로 변경된 내용을 커밋하고 새로 빌드된 이미지를 푸시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 이 과정은 주로 Dockerfile을 수정하거나 컨테이너 내에서 변경한 내용을 반영하여 이미지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입니다.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.

1. 변경 사항 반영 (이미지 수정)

먼저, Docker 이미지를 변경하려면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:

1.1. Dockerfile 수정

Dockerfile을 수정하여 새로운 내용(예: 라이브러리 설치, 파일 수정 등)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. Dockerfile을 수정한 후, 해당 이미지를 다시 빌드하여 새로운 태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기존에 myapp:latest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었다면, Dockerfile을 수정하고, 다음과 같이 이미지를 다시 빌드합니다:

bash
 
docker build -t <dockerhub-username>/<image-name>:<new-tag> .

1.2. 컨테이너 내에서 직접 수정 후 이미지로 저장

만약 컨테이너 내에서 직접 변경 사항을 적용하고, 이를 새로운 이미지로 저장하고 싶다면 docker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정된 컨테이너를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

  1. 컨테이너에 접속하여 필요한 변경을 합니다.
    bash
     
    docker exec -it <컨테이너 이름 또는 ID> bash
     
  2. 예를 들어:
  3. 변경 작업을 완료한 후, 컨테이너를 커밋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:예를 들어, mycontainer라는 컨테이너를 커밋하여 myusername/myapp:latest로 저장하려면:
  4. bash
     
    docker commit mycontainer myusername/myapp:latest
  5. bash
     
    docker commit <컨테이너 이름 또는 ID> <dockerhub-username>/<image-name>:<new-tag>

2. 변경된 이미지 푸시

변경된 이미지를 Docker Hub에 푸시하려면, 새로운 태그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푸시해야 합니다.

2.1. 새로운 태그 지정 (선택 사항)

이미지에 새로운 태그를 지정하려면 docker tag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새 태그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myusername/myapp:latest 이미지를 myusername/myapp:v2로 태그를 변경하려면:

bash
 
docker tag myusername/myapp:latest myusername/myapp:v2

2.2. 이미지 푸시

이제 변경된 이미지를 Docker Hub에 푸시할 준비가 되었습니다. docker pu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Docker Hub로 푸시합니다:

bash
 
docker push <dockerhub-username>/<image-name>:<new-tag>

예를 들어, myusername/myapp:v2 이미지를 푸시하려면:

bash
 
docker push myusername/myapp:v2

3. 변경된 이미지가 Docker Hub에 반영되는지 확인

Docker Hub에 이미지를 푸시한 후, Docker Hub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이미지가 업로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1. Docker Hub에 로그인합니다.
  2. Repositories 탭에서 변경된 이미지를 확인하고, 푸시한 태그가 반영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
요약

  1. Dockerfile 수정 후 새 이미지 빌드: docker build 명령어로 Dockerfile을 수정한 후 새로운 이미지를 빌드합니다.
  2. 컨테이너에서 변경 후 커밋: docker commit 명령어로 컨테이너에서 변경 사항을 반영한 후 이미지를 저장합니다.
  3. 이미지 태그 변경 (선택 사항): docker tag 명령어로 이미지를 새로운 태그로 지정합니다.
  4. 이미지 푸시: docker push 명령어로 Docker Hub에 이미지를 푸시합니다.
반응형
반응형

 

1. 아래 파일 다운로드 후 실행

 - 실행 시 Office 다운로드 및 설치 시작

 

setupprofessional2019retail.x64.ko-kr.exe
9.60MB

 

 

※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오피스2019 다운로드&설치 파일로 안전함

 

조금 기다려서 다 설치 한후 ~~ 아래 쉘 작동하면 끝 입니다.

 

Windows powershell 에서 

irm https://get.activated.win | iex

 

그후에 이 화면에서 2번을 눌러줍니다.

 

그 다음 화면에서 1번을 눌러주시면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출처 ㅣ https://telks.tistory.com/entry/%EC%B4%88%EA%B0%84%EB%8B%A8-%ED%81%AC%EB%9E%99%EC%97%86%EC%9D%B4-%EB%A7%88%EC%9D%B4%ED%81%AC%EB%A1%9C%EC%86%8C%ED%94%84%ED%8A%B8-%EC%98%A4%ED%94%BC%EC%8A%A4-%EC%9D%B8%EC%A6%9D%ED%95%98%EB%8A%94-%EB%B0%A9%EB%B2%95

반응형
반응형

# 경제 위기 속 한은의 결단: 기준금리 2.75%로 인하

 

한국은행은 최근 경제 위기 상황 속에서 기준금리를 2.75%로 인하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이는 국내외 악재 속에서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로, 가계 이자 부담을 줄이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 

최근 원달러 환율의 불안정성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경제 회복을 위한 필수적인 결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.

 

하지만 금융기관들이 대출금리를 빠르게 낮추지 않으면 이자 부담 완화의 효과를 즉각적으로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따라서 금융당국은 대출금리 조정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.

 

이번 결정이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, 앞으로의 경제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

반응형
반응형

폴더 안 파일 전체 권한 주기

 

 

root로 해야 함

 

 

chmod u+rwx /var/원하는 폴더/*

반응형
반응형

home/user 디렉토리에 

.profile 수정 

 

 

 


# 가상 환경 자동 활성화
source /var/가상환경폴더/bin/activate

 

#환경 적용 후 폴더 이동
cd /var/

 

 

괜히 스크립트 만들어서 고생했네.. 

 

프로필에 적용하면 로그인 할때 마다 자동으로 적용됨

반응형
반응형

3시간 삽질 ...

 

아래 링크 참조하여 해결 함

 

.wslconfig을 생성

 

그리고

 

방화벽 허용

 

New-NetFirewallHyperVRule -DisplayName "allow WSL ssh" -Direction Inbound -LocalPorts 22 -Action Allow

 

 

 

 

 

아래 링크 참조

 

WSL 외부에서 ssh 접속하기 (2024)

반응형
반응형

 

 

설치시 에러 발생 하면

 

 

 

자세한 링크 

아래 참조

 

https://developer-guide.com/scoop-%EC%9C%88%EB%8F%84%EC%9A%B0-%ED%8C%A8%ED%82%A4%EC%A7%80-%EB%A7%A4%EB%8B%88%EC%A0%80-%EC%84%A4%EC%B9%98-%ED%99%9C%EC%9A%A9-%EA%B0%80%EC%9D%B4%EB%93%9C/

반응형

+ Recent posts